top of page
KakaoTalk_20210809_124303445_01.jpg

Junyoung Kang

Jaejun Kim

Daeyong Bae

Kihoon Chung

7/09      7/23

July 2022

Snapping a chalk line

​먹줄 튀기기 

Exhibition Period : July 09 - July 23, 2022

전시 기간 : 2022년 7월 09일 - 7월 23일

Opening reception will be held at 4p.m. on July 09 Saturday

오프닝 행사는 7월 09일 토요일 오후 4시-7시 까지 진행합니다.

Exhibition location:  2GIL29 GALLERY (Garosu-gil 35, Gangnam-daero 158gil, Gangnam-gu, Seoul)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158길 35 (신사동) 이길이구 빌딩 1층 

Contact: Exhibition Planning Office 02-6203-2015 

전시문의 02 6203 2015
Opening Hours: 10 am to 7 pm (Closed on Sunday, Monday, and holidays)

관람시간 오전 10시-저녁 7시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일요일, 월요일, 공휴일 휴관)

2GIL29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the opening of <Snapping a Chalk Line> (July 9 - July 23), an exhibition composed of a group of four young Korean artists Junyoung Kang(b.1979), Kihoon Chung(b.1987), Jaejun Kim(b.1990), and Daeyong Bae(b.1992). <Snapping a Chalk Line> presents the ways these artists observe, question, deconstruct, and reconstruct the idea of a “house”. Each artist has a different role; Junyoung Kang observes the formation of the very first social boundaries, Jaejun Kim examines the materiality of a house, Daeyong Bae reconstructs the chronicles experienced inside home, and Kihoon Chung questions the forms of a family.

Junyoung Kang expresses his memories and emotions that come from personal experiences and documents them in paintings, ceramics, and videos. In his works,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entangled in ways that form layers. That is, the memories of his late father - who was an architect - drawing on the draft board, and the view of his young child playing with clay, continue to intertwine with each other. So he reflects by investigating the idea of “home”, which seemingly flows through the recollections of three generations. Recently the artist has been working on the subject as a place where the very first relationships and social boundaries are formed.

Junyoung Kang  집 짓기를 위한 우리의 여러가지 드로잉 방법  2022  흙 나무 혼합재료 가변설치

Jaejun Kim’s works enable viewers to reflect upon the possibilities of an anti-structure. The artist, who has pursued his studies in architecture, questions the firm and solid materiality of the cube - the basic form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 and its constituents such as the floor, walls, columns and beams. He has attempted new artistic approaches as creating digital scenery made from data - thus escaping the restrictions of the physical world - and drawing sequences of the cubes’ movements. As a matter of fact, his works focuses the movements of people, which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to the structures that maintain their firmness and solidity.

 

Daeyong Bae reconstructs the chronicles that a person experiences inside a house. His drawings, which are like a bird’s eye view or floorplan drawing, make viewers go through the god’s perspective by taking them to the position of a “homo-deus”. Through mapping, the artist documents his stories and emotions that come from personal experiences on paper. However, he records them in symbols, which means the complete removal of subjectivity. To sum it up, the artist strategically selects some moments experienced in between life and death, and transforms them into new kinds of visual architectural structures that are seen from an aerial viewpoint like a layout drawing.

 

To Kihoon Chung, “home” means “shelter”. When he leaves the house for work, his plants are the only things that give his home its meaning by filling the empty space with life when no one else is around. To take care of his plants, the artist watches their leaves and thoroughly examines the changes they go through each day. The repetition of this routine gives the plants the role of a family and the act itself becomes a symbol of logging in and out of home. Thus, taking care of plants can be seen as the 21st century equivalent of past shelters as it’s not only a safe place, but also as a means of protection from danger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napping a Chalk Line” comes from the method in construction used to mark out places where walls will be built. When a builder snaps the string filled with powdered chalk, a straight line is marked on the surface, defining once and for all the space that is going to be used for the next decades. During the last 2 years, the pandemic made us reflect upon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houses. Hence, by “Snapping a Chalk Line”, the artists are trying to change the way traditional houses of previous generations were built. With this exhibition, we hope people can reflect and think about designing their home, not only as a physical and spiritual place, but also as a way to snap their own chalk lines

Artist Introduction

Kihoon Chung  광원 연구 (Light Source Research)  2018  2 Single Channel Videos Installation

Born in Seoul, Junyoung Kang (B. 1979) completed his B.F.A. in Ceramic & Glass and M.F.A. in Ceramic Art both at Hongik University. He delivers personal sentiments and narratives running through his daily life in a variety of genres including ceramics, paintings, and video works. He displays a wide range of spectrum broadening his personal concerns into the public sphere through his own reinterpretation on hi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nd narratives in the societal context. In particular, he is known for his painted ceramic object straddling between the genre of ceramic and painting. In his school years in Australia, he was naturally introduced into Street culture and Graffiti art, which largely inspired him in terms of their way of communication and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 Though the messages in his work embrace universal sentiments of all mankind in depth. As he once said in an interview, all the things he encounters and experiences become source of his work, and it tells his interest that does not remain in the personal distinctiveness but go beyond that to the extent of understanding of the other side of society and things are excluded.

Jaejun Kim(b. 1990) was born in Seoul, S. Korea and graduated from The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UCL in London, UK with a first class honor and Model design prize. He participated in various architectural projects in architecture firms in London and HongKong, and has continued to expand his interests in the artistic approach of architecture. In his work, he uses one of the simplest architectural forms - the cube - as a basic unit of space. He depicts the complex and unstable movements of space by introducing ideas related to time such as the expansion, transition, unification, and movement. His works are not only presented through digital architectural forms but they can also be seen through his videos, graphics, and abstract paintings.

Daeyong Bae(b. 1992) was born in Seoul, S. Korea and graduated from The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UCL in London, UK. He has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architectural projects in London, UK and continuing to expand his interests in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His architecture projects cover the subject of time, in terms of making the past and the present coexist simultaneously by bette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 place where contemporary structures are going to be built. For Daeyong Bae, birth and death are both a course of nature that no one can defy, and the repetition of birth and death through different generations leave behind certain traces, which at times make us feel either happy or sad, and reminiscent of the past as well as reflective of the present.

Born in Seoul, Kihoon Chung (B. 1987) completed his B.F.A. in Ceramic & Glass and M.F.A. in Ceramic Art both at Hongik University. Studying the effects that artificial lights have on the plants, Kihoon Chung records the video of the sunlight flashing from 10am to 2pm and later shows it through a projector creating a unique atmosphere that has characteristics of both the nature and artificial borders. By putting video recorded sunlight on the plants, he experiments if a growth environment can be artificially created, and also questions if such a thing can be determined as a product of the nature. Through his works, the artist continues to make inquiries about the future environment as well as the coexistence of contemporary people and the nature.

김재준의 작품은 반(反) 건축을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작동한다. 건축을 전공한 작가는 ‘집’이라는 건축물의 네모난 기본 구조체, 큐브(cube)와 구성 요소인 바닥, 벽면, 기둥, 보 등이 지닌 단단한 성질에 의문을 품는다. 따라서 작가는 물리적인 구속에서 벗어나 가상세계에서 데이터를 안료로 디지털 풍경화를 제작하거나, 큐브들의 연속적인 움직임들을 포착하는 드로잉을 시도해왔다. 단단함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물리적인 건축물에 반하여, 그의 작품은 집을 향유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조명한다. 마치 세포 분열의 과정처럼 김재준의 벽은 2D-2.5D-3D를 아우르며, 건축의 물성에 반하여 늘려지고, 분절되고, 벼르고, 연속되고, 확장하는 시공간을 제안한다. 

 

배대용은 한 사람이 집이라는 장소에서 겪는 시간의 흐름과 사건, 쌓이는 흔적들을 재구성한다. 배대용의 드로잉은 태어나고 스러질 때까지의 시간을 마치 신의 입장에서 내려다보는 형태를 띤다. 건축의 조감도 혹은 배치도처럼 하늘에서 땅으로 향하는 호모 데우스(Homo Deus)적 시선을 가지기 때문이다. 작가는 개인의 경험에서 채집한 특정 사건과 감정을 매핑의 방법론을 통해 종이 위에 기록하는데, 이때 개인의 서사와 감정을 지워낸 객관적인 기호로 재록한다. 따라서 삶과 죽음 사이, 집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작가는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번역하고, 조직하고, 형성해 시각적 건축의 한 종류로 탈바꿈한다. 위에서 언급한 조감도 혹은 배치도처럼 말이다. 

 

정기훈에게 집은 ‘안식처’로 작동한다. 생과 삶을 영위하기 위해 일터로 출근하는 순간부터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까지 비어있을 집을 채워주는 것은 그의 반려 식물들이다. 텅 빈 집을 잘 지켜줄 식물들을 위해 출근 전, 식물들의 메마름을 체크하고 이파리의 변화를 관찰한다. 퇴근 후 집에 돌아와도 이 루틴은 반복된다. 이제 작가에게 식물은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된다. 집을 나가고 들어올 때, 식물을 매만지는 행위는 집이라는 공간에 ‘로그인 / 로그아웃’하는 과정이 된다. 식물을 매만지며 오늘 하루도 잘 해냈음을, 무탈했음을 확인하는 이 과정은 결국 태초의 집의 목적이었던 궂은 날씨와 맹수 등의 위험요소를 피해 몸을 보호하던 안식처의 업데이트된 21세기 프로그램이다. 


전시명 ⟪먹줄 튀기기⟫는 경계측량 방법의 하나로써, 기초공사가 끝난 바닥에 벽의 위치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먹물을 묻힌 긴 줄을 숙련된 목수가 튕겨내는 순간, 잘 닦인 바닥에는 먹줄이 튕겨져 검은 선이 새겨진다. 이 선에 따라 향후 몇십 년간 사용될 공간이 결정되는 것이다. 우리는 지난 2년 동안 팬데믹을 겪으며, 전통적 집의 한계점을 경험했고, 확장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와 같이 먹줄을 놓으려는 작가들의 행위는 이전 세대가 추구했던 이상향에 맞춰 설계된 ‘집’을 새삼스레 낯설게 만들고자 하려는 시도이다. 숙련된 목수의 먹줄이 구획하는 집처럼, 전시를 통해 새롭게 고안된 물리적∙정신적 공간인 집을 발견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이후, ‘내 집’, ‘내게 맞는 집’을 위한 먹줄을 튕겨보길 바란다.

Jaejun Kim  Cube series - polymerization  2020  Ink and Oil on Paper 145x240cm

먹줄 튀기기

⟪먹줄 튀기기⟫는 ‘집’이라는 통념을 관찰하고, 의문을 품고, 분열하고, 새롭게 재구성하는 작가들의 조형 언어를 선보인다. 전시에 참여하는 네 명의 작가는 집에서 형성되는 최초의 사회적 경계(강준영), 집의 물성(김재준), 시간과 사건의 재구성(배대용), 그리고 집과 가족의 형태(정기훈)에 대해 의문을 던진다.  

 

강준영은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된 감정과 기억 등을 아카이빙하고 이를 회화, 도자, 영상 등의 매체 위에 기록하는 조형 언어를 선보였다. 그의 작업에는 과거와 현재가 얽혀 일종의 레이어를 형성하고 있다. 작가의 유년 시절 건축가였던 아버지가 제도판 앞에서 설계하던 추억과 작업하는 본인 옆에서 어린 아들이 흙덩이를 말고, 짓이기고 쌓아가는 ‘놀이’를 목격하는 현재가 얽혀있기 때문이다. 부모-나-자녀. 삼대를 잇는 기억과 추억의 지평을 관통하는 ‘집’에 대한 질문을 이어간다. 최근 작가는 집을 ‘최초의 인간관계가 형성되는 장소’이자 ‘최초의 사회적 경계’로 환원하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배대용 Dae yong Bae (b.1992) 작가는 영국 UCL,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학사를 졸업했다. 국내에서 3차례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그가 진행해왔던 건축 프로젝트 들은 지속적으로 건축에서의 시간성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데, 기존에 대지가 갖고 있는 역사를 발견하고, 그 역사를 보존하며 그 위에 현대의 공간들이 공존하도록 진행해왔다. 삶과 죽음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거스를 수 없는 자연의 섭리라고 생각하는 그는 결국 삶과 죽음은 세대에 따라 흘러가는 지속적인 반복이며, 그 과정에서 남겨지는 여러 가지 흔적에 의해 우리는 행복해하고, 슬퍼하고, 추억하며, 현재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흔적에 관한 작업을 통해 반복되는 삶과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거기로부터 남겨지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자신과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정기훈 Ki hoon Chung (b.1987)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도예유리과에서 학사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도예과에서 석사를 졸업하였다. 기계적으로 재현된 광원이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정기훈 작가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촬영된 자연광을 빔프로젝터를 통해 동일한 각도에서 식물에게 투사하여 다양한 컬러의 빛의 프리즘을 통해 자연과 인공 경계의 오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식물은 자신의 생장을 위해 광원의 특정 파장을 흡수해야하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적색파장과 청색파장인데, 이와 같은 시스템은 자연물에 대한 생장환경의 제시가 기계적으로도 가능한 것인지, 그렇다면 이러한 제시가 자연적인 것이라고 여겨도 되는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앞으로 다가올 미래환경에서 인류와 자연이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을 하고 있다. 

​작가소개

강준영 Jun Young Kang (b.1979) 서울출생. 홍익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도예를 전공했다. 국내를 비롯, 아시아 및 영국, 미국 등 전 세계를 무대로 작품을 선보이며 호평을 받았다. 그는 자전적인 경험이 녹아든 내러티브를 도자.페인팅. 영상 등 다양한 조형언어를 통해 사회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사적 사유를 공적 영역으로 옮겨오는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작가로, 특히 도자와 페인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도자 페인팅 오브제 작업으로 유명하다. 호주에서 보낸 학창시절, 자연스럽게 접한 스트리트 문화와 그래피티의 독특한 개성과 직접적인 전달 방식에 매료되었던 그의 작업은 그래픽적인 요소와 경쾌한 색감이 특징적이지만 그 안의 메시지는 인류의 보편적인 감정을 아우르는 깊이를 가지고 있다. “동시대를 경험하며 마주하는 모든 것이 작업의 원천”이라는 그는 개인적 특수성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의 이면성과 소외된 것을 비추는 작업을 보여주고 있다. 

 

김재준 Jae jun Kim (b.1990) 서울출생. 영국 런던 UCL 의 바틀렛 건축학교에서 ‘First class honour’와 ‘Model design prize’를 수상하며 졸업하였다. 그는 런던과 홍콩의 건축회사들에서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건축의 예술적 접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오고 있다. 그는 기본 공간 유닛을 가장 기초적이며 단순한 형태인 큐브로 이미지화 하였으며, 성장, 변화, 군집, 결합, 유동과 같은 시간에 관계하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서 복잡하고 불확실한 공간의 움직임을 그려내려 하였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공간의 형태를 영상과 그래픽을 활용한 디지털 건축의 방식 뿐 아니라 회화 재료를 활용하여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보여주고 있다. 

 

Daeyong Bae  Fragility of Life 02  2021  Pencil and Pen on Paper 76.2x55.9c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