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3.Heart is Gold IV 40cm x 50cm,복합매

Jeehui Hong

9/17

 10/15

September / October
       
               

Dates  :                                      September 17 - October 15

                                                       (There will be no opening reception due to Covid-19.) 

Exhibition Venue  :            2GIL29 GALLERY 

Opening Hours :                 10 am - 7 pm Tuesdays to Saturdays

                                                      일요일, 월요일, 공휴일 휴관 (closed on Mondays & Sundays, Public holidays) .

                                                      무료관람  Admission: Free

Jeehui Hong

 

 

 

Le visible et l’invisible 

(Web용)탐구생활 Find oneself, 2020, 53x40cm,M

2GIL29 GALLERY presents Le Visible Et L’Invisible, an art exhibition featuring works by Jeehui Hong from September 17 to October 15, 2020. Her works that explore and pose questions concerning the visible and invisible will be on show at the exhibition. We are often led to some concept of life through organic encounters of the world touched by the sense or things visible to the eyes and the world involving sign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r things invisible to the eyes. As philosophy vis-à- vis art gives our lives significance and of worth, Hong extends the territory of her work enabling us
to read ambiguity or invisibility like signs. While an artwork that can be appreciated by the eyes and purchased with money is something physical with economic value, an artist’s spirit or philosophy is something invisible with aesthetic value. Not only the physical eyes are required to create artworks laden with spirit and heart and to appreciate them, but also the spiritual eyes are needed to access and understand those works. Hong’s works enable us to feel that the world consists of the visible tangled with the invisible when all senses of the body and spirit “exchange” and go forward to “an oriented relation.” When Hong does something visible, she feels that something invisible matters more. In this exhibition she notably poses a question concerning aspects of the future as well as the past and the present of everyday life she feels living as a woman and a human. Her work is a reflection of many perspectives toward her inner and outer worlds including living in the present for the future. She is fearless in her process of discovering the most visually suitable way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explorations, untrammeled by any technical formalism. In this exhibition, she also unfurls her more liberal, extended art world with recycled materials chosen by aesthetic criteria intrinsic to the artist, not any standardized modeling quality. This is a representation of her determination to capture her inner mindscape rather than to seek out any completion in a genre as well as an endeavor to access the nature of a narrative through a more aggressive elimination. She noted that a variety of concerns not addressed in any form have their own value and the time of such concerns is a process given as a gift to identify one’s existence. Her struggle to leave her own things behind is manifested with a wide array of narratives. She expressed her idea that art is the process in which an everyday thing is made into an artwork and art is a silent communication to share thoughts and emotions derived from everyday life and a language. She also held that "This exhibition resulted from my courage to take a step forward to others, referring to the confrontation of the present personally." We hope this exhibition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guess and judge on the basis of amassed experiences, to be in sympathy with others, and to come across a wide range of views on questions and expressions. It is hoped that this art show will be a chance to identify her assertion that artistic practice is her life and her life is artistic practice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that makes the invisible visible.

 

 

 

홍지희 (Agnes Jeehui Hong)
Born in Seoul, Jeehui Hong (b.1986) studied graphic design at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and majored in illustration at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She was once involved in commercial work. With an enthusiasm to explore the inner self in her work, however, she began engaging in fine arts, departing from her practice to respond to given conditions. She has gained recognition as an artist who has her own distinctive artistic style through a multitude of interesting exhibitions and a variety of projects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a number of global commercial brands.

 

Jeehui Hong 탐구생활 Find oneself 2020  Mixed media on canvas 53x40cm

홍지희 

 

Le Visible Et L'Invisible

 

 

이길이구 갤러리는 9월 17일 부터 10월 15일까지 홍지희 작가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이란 전시명으로 초대전을 개최한다. 그녀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동안 작품을 통해 탐구하고 있는 그녀 즉 자신의 내면 속 질문에 충실한 답을 찾아가는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인것들 감각으로 만져지는 세계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 즉 의미와 해석을 기다리는 정신적 세계 이 두세계의 유기적인 만남으로 작가 스스로 보이지 않는 삶의 이치와 의미를 읽어 낸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삶을 의미 있고 가치있게 만드는 예술에 담긴 철학처럼 홍지희의 작품은 육체와 정신의 모든 감각이 교류하는 지향적 관계에 대해서 주목한다.
보여지는 일을 할수록,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다는 그는 특히 이 전시에서 여성으로 그리고 사회의 여러 관계 속  한 사람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느낀 일상과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에 대해 질문하며 오늘 속에서 내일을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 등 그의 내면과 외면 속 여러 시선들을 그대로 투영하여 펼쳤다. 평소에 기법적 형식론에 매몰되지 않고 다각적 탐구를 통해 시각적으로 가장 적합한 표현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두려워하지 않는것으로 평가받던 그는 이번 전시에서도 정형화된 조형성이 아닌 그의 고유한 미적 기준으로 포착한 리사이클 재료들 통해 좀 더 자유롭고 확장된 작품세계를 펼친다. 이는 장르적 완결성을 찾기보다는 내면의 심상적 풍경을 담아내려는 의지의 표현이며, 좀 더 적극적인 소거를 통해 이야기의 본질에 다가가려는 노력이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꽃피우지 못하는 수많은 고민들도 그 자체로 가치 있다고 밝히며, 그 고민의 시간들은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선물같은 과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렇게 오롯이 나만의 것을 남기기 위해 분투하는 기록들은 끝없이 다양한 이야기로 발현된다. 예술은 일상적인 것을 작품으로 만드는 과정이고, 일상에서 길어올린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무언의 소통, 또다른 형식의 언어라는 생각을 피력했던 그는 “이번 전시는 개인적으로 현재를 직면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타인에게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용기이다. 오랜 자아 탐구를 지나 퇴적된 경험으로 비추어 짐작해 보는 타인에 대한 공감, 질문과 표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만나보고 싶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를 통해 보이지않는 것들을 보이도록 표현해주는 소통의 매개체로서 작업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작업이 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작가 소개

서울 출생. 홍지희 작가(b.1986)는 계원예술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고  국민대 대학원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전공했다. 이후 기업들과의 다양한 활동으로 작업을 꾸준히 해 왔다. 지금은 기업에 주어진 상황에 맞춰 시각화하는 작업에서 벗어나 자신의 내면을 담고 싶다는 열망으로 순수미술의 길로 폭을 넓히고 있다. 다수의 흥미로운 전시들과 글로벌 커머셜 브랜드들과의 여러 프로젝트들로 보다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홍지희 작가는  자신의 색이 확실한 작가로 더욱 인정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10.Wind,22x22cm, Mixed media on canvas,2

Jeehui Hong  바람  Wind 2015 Mixed media on canvas 22x22cm

Jeehui Hong- Dynamis of Mind

                                                  

 

 Youngtaek Park (경기대교수 미술평론)

 

 

 

The handmade and self conducted works created by Jeehui Hong hold subtle colors and condensed with bizarre materials. The different materials in the artist’s work does not exist for its own purpose. However every material is mushed together and creates a chaotic form. The works of the artist are alienating and can not be categorized, and erase unity and clarity. The paintings give an optical illusion as if the viewer’s eyes are covered in veil. The images seem like it is covered in fog and echoes the unclear imagery. The physicality of the work  is covering and evaporating or even erasing and crushing the image rather than guiding the object and colors. In the rectangular frame, daily objects, paint, and resin are entangled in a singular screen. Therefore the canvas and frames act as a vessel pushing the inner materials out of the structure. Moreover, the objects that can be called ‘Abjection’ seem to be pouring out of the frame. Therefore, the artist’s overall experience of the art making process seems to have things in common with giving birth to a creature.

 

The spectrum of the works are extremely broad. Therefore, it is hard to contain it under specific methodology or limited theme. Arguably big scaled paintings depict the emotional atmosphere through expressional brushstrokes and dreamy pastel toned colors. Another genre painting from the artist portrays specific images of human faces and bodies. Moreover the majority of the paintings created by the artist are paintings made out of ready made objects such as broken glass bottles combined with paint, ‘ l’objet painting’.

Frequently appearing images are candles, lighting, cakes, flowers, feet, and faces and pieces of glass are often stuck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s. Sharp glass debris psychologically agitates fear of the viewers due to the representational symbolism of the original material. By purposely using sharp and dangerous glass which is hard to handle is a strategy to reveal and visualize inner scars and trauma of the artist.

 

The artist’s use of paint self exists in a certain form which agitates imagination and follows the philosophy of Hylozoism rather than suggesting an image or being limited as a tool for replication. The paintings purposely avoid stereotypes and the individual materials have its own character and create generative moments. Therefore the diverse materials are a method of stimulating emotions through unique features. The materials are not treated as just a component of a painting, however each element is viewed as a separate ‘creature’ which is somewhat spiritual. Therefore, the artist’s works are about the process of summoning ‘souls’ of the materials and covering up the screen impulsively.

 

Most of the works by Jeehui Hong involve found objects from daily life. The found objects are waste materials, escaping from its original practicality and completing duty as a tool and finally being abandoned. The objects were once used for a specific use or purpose, however it has been worn off and became incapable. Therefore it is the end or ‘death’ of the objects. The artist’s art making process is sympathising the ‘death’ of the materials through re-combining and re-composing the found objects into a new form placing the visual subject in a different area. The shift and reformation is a technique that hyperrealists often used. The objects that were brought up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combine with paint and resin and result in a concretized form in a rectangular frame. Therefore, the objects become a ‘recipient’ receiving attention from the viewers. Shattered glass is dramatically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and the three dimensional ‘les objets’ beautifully irritates the viewer’s nerves. Small shining objects and objects that generate light are commonly used in the artist’s paintings. The shining objects are buried and covered with other materials, however when light hits these objects the viewers experience the visual effect of the materials popping out of the canvas.

 

The artist’s collage pieces are made out of ‘ready mades’ in a re-organized form affected by other materials. Usually resin is used in the majority of the works. However it can be easily substituted with other materials and the images replace the function of drawings and even matters that seem impossible to be expressed and recapitulated. The painting with brush marks and text shares the same context. The texts in the painting float around the air of piled chunks of colors. The texts create and summon personal memories,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texts not only summarize nostalgia but also allows infinite amplification of diverse thoughts and beliefs. ‘l’objet painting’ shows the process of the artist’s attempt to express and visualize personal emotion, philosophy, and the traumatic memories that have been stabbing her heart like splinters. These attempts may be difficult and obscure because the artist is trying to visualize the ‘l'invisible’. Perhaps the purpose of Art is to visualize the ‘l'invisible’ features into images that can be observed. Jeehui Hong’s works clearly show the process which is mentioned above and her works show the confusion of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with all her might.

 

 

 

 

 

 

 

홍지희- 마음의 질료들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

 

 

 

홍지희가 만든 것들, 손으로 만지고 연출한 것들은 희박한 색채를 머금고 애매한 물질덩어리로 응고되어 있다. 마냥 곤죽이 되어 있기에 홀로 존재하는 사물들이 아니라 다른 것들과 섞여 혼돈된 형국을 연출한다. 이질적이고 규정 할 수 없으며 단일성, 명료성을 지우는 작업이다. 그것은 시야를 일종의 막처럼, 안개처럼 뒤덮고 있어서 화면은 흐릿하게 다가온다. 대상과 색채를 지시하기 보다는 은폐하거나 증발시키고 있다는 느낌, 아니 그것들을 죄다 지우고 뭉개고 있어 보인다. 일상의 사물들과 물감과 레진 등이 뒤엉켜 이룬 오브제 작업 혹은 붓질들로 가득 채워진 화면이 일정한 프레임에 의해 담겨져 있다. 그래서 화면과 액틀은 일종의 용기와도 같은 역할을 하면서 그것들을 품고 있다. 마치 액틀 안에서 여러 물질들을 바깥으로 내밀고 있는 듯한. 스스로 내부에서 밖으로 밀려나가는 어떤 상황도 감지된다. 애초에 프레임이 회임하고 있던 여러 물질들, 이른바‘비체(Abjection)’라고 부를 만한 것들이 쏟아져 나오는 듯하다. 그런 면에서 작가는 작업을 자기 몸에서 출산해내는 그 어떤 것으로 경험하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작업의 스펙트럼은 상당히 넓은 편이어서 특정한 방법론이나 한정된 주제로 가두기는 어려워 보인다. 비교적 큰 스케일의 평면 회화, 그러니까 다분히 표현적인 붓질과 부드러운 파스텔 톤의 몽환적인 색채 연출, 그리고 매우 정서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추상회화가 있고 구체적인 형상- 대부분 사람의 얼굴과 신체를 그린 그림-이 자리하고 있는 회화가 있다. 동시에 유리조각이나 여러 일상의 사물들을 화면에 부착해서 물감과 함께 연출한 일련의 오브제 페인팅이라고 부를 만한 것들이 있다. 이런 유형의 작업이 가장 많은 편이다.

빈번하게 등장하는 이미지는 촛불, 조명, 케이크, 꽃, 손, 발, 얼굴이며 유리 조각이 상당수 부착되어 있다. 날카로운 유리 파편들이 물감 및 다른 물질들과 뒤엉켜 들러붙은 자국이 표면을 덮고 있다. 물질들 사이에 자리한 이 날카로운 유리조각은 상처를 주는 예민함으로 꽂혀있어서 보는 이들에게 심리적인 공포를 은연중 자아낸다. 다루기 어렵고 불편한 유리조각을 의도적으로 물질들과 같이 뒤섞어내고 있는 것은 일상에 잠복된 상처를 드러내거나 자기 안의 내밀한 상처를 가시화하는 전략으로도 보인다.

 

한편 작가가 다루고 있는 물감들은 특정 형상을 지시하거나 재현하는 수단에 종속되기 보다는 그것 자체로 물활론적인 삶을 살거나 영감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존재로 자존한다는 느낌이다. 정형화된 형태를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혹은 미처 갖추지 못하고 물질들 스스로 모종의 표정과 생성적인 상황을 노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물질들은 독특한 표정으로, 낯선 물성으로, 정서적 자극을 주는 매개로 서 있다. 이는 물질을 단순한 질료, 재료로 여기지 않고 그것 자체를 자신과 대등한 생명체로 여기거나 자신의 모든 것을 실어 나르는 특별한 것, 다분히 영성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이다. 물질에 깃든 혼령을 불러내는 것, 그 정령들로 화면을 채우고 그것이 그림을 대신하고 자신을 대리한다는 생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작가의 작업인 듯하다.

 

홍지희의 대다수 작업은 일상적인 사물들을 이용해서 이를 화면에 붙여놓은 것들이다. 그 사물들은 일상에서 사용되고 폐기된 것들, 실용적 차원에서 기능했다가 풀려난 것들이자 도구로서의 수명을 다하고 버림받은 것들이기도 하다. 한때는 어느 곳에서 특별하게 사용되었다가 이제는 그 역할에서 벗어난 것들이다. 그것은 사물의 죽음, 도구의 최후일 것이다. 사물의 죽음을 애도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작가의 작업은 그렇게 수습한 것들을 유동적인 물질과 결합시켜서 또 다른 존재로, 이전과는 다른 시각적 대상으로 위치시켰다. 이 자리이동, 탈바꿈은 다분히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다루던 기법이다. 화면 위로 호출된 사물은 레진과 물감 등과 결합해서 액틀 안에 멈춰있다. 지속해서 시선에 의해 보이고 그렇게 주목받는 존재가 되었다. 그런가하면 작가는 유리병을 깬 후 조각난 유리들을 박아놓았고 이 융기된 유리 조각들이 거칠게 자리한 표면을 다소 드라마틱하게 연출해놓았다. 입체/부조로 자리한 유리 파편은 보는 이들을 향해 솟아있으면서 자기 존재를 예민하게 빛내고 있다. 작가의 작업에는 이처럼 공통적으로 반짝이는 것, 빛을 내는 것, 작은 조각들이 박혀있다. 화면 내부에 깊숙이 박혀 있다가 조명을 받으면 죄다 빛을 내며 살아나는 것들, 앞으로 뻗어 나오는 것들이고 그런 시각적 체험을 안겨준다. 촛불, 샹들리에, 금박으로 빛나는 작은 발도 그런 빛을 내는 존재들이다. 그것들은 일상에서 접하는 위안과 치유의 은유인 듯하다.   

 작가의 콜라주작업은 레디메이드를 이용한 작업이자 사물과 이들을 결합하고 하나로 묶어내는 또 다른 물질의 개입 아래 이루어진다. 레진이 주로 쓰이지만 다양한 물질들의 연출로 가능한 작업이고 그림을 그리기 보다는 이미지를 대신해서 물질들이 스스로 짓는 표정을 통해 형상화할 수 없는 것, 표현할 수 없어 보이는 것, 차마 지시하거나 재현되기 곤혹스러운 것들을 암시하는 선에서 다소 격렬하게 파동 친다. 붓질과 문자를 이용한 일련의 페인팅도 그런 맥락에 있다. 발화하는 음성을 붙잡아두는 문자는 허공 속에서 떠돈다. 색채의 더미 속에서 부유하는 문자는 그 문자를 읽는 이들로 하여금 그 문자로 인한 특별히 개인적인 경험, 감정을 떠올려주는 한편 그로인해 무한히 증폭되는 여러 상념을 허용하게 해준다.

오브제작업이나 페인팅 모두 작가 자신의 감정이나 정신이란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 마음속에 가시처럼 박힌 상처나 우울, 그리고 무성하게 흔들리는 여러 상념을 가시화하려는 시도일 텐데 사실 그것들은 재현되기가 까다로운 것이자 재현에서 끊임없이 미끄러지는 것이고 비가시적인 것들이라서 난해한 것들이다. 어쩌면 미술은 그런 모호한 것들을 가까스로 시각적 존재로 밀고 나오려는 것일 수 있다. 홍지희의 여러 작업들은 그 같은 경로를 진솔하게 드러내면서 그로인한 가능성과 불가능성이 착잡하게 교차하는, 선회하는 모종의 흔적을 몸으로, 온몸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bottom of page